지난 2014년은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1월 미국 방문으로 한 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방문은 한미 양국이 한 해에 다룰 어젠다를 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아 2015년 미국은 이를 본따 연초부터 한 명도 아니고 세 명의 고위급 인사를 한국에 보내기로 했습니다. 

지난 주에는 국무부의 웬디 셔먼 정무 차관과 로즈 고테묄러 군축 및 국제 안보 차관이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웬디 셔먼 차관은 한국 관련 사안에 오랫동안 관여해왔고 서울에 오랜 친구들도 많습니다. 이번에 매우 생산적인 방문을 마치고 돌아가면서 조만간 꼭 다시 오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로즈 고테묄러 차관은 유명한 비확산 전문가로, 비확산 및 안보 사안을 두고 고위급 회담도 갖고 역시 성공적인 방문을 마쳤습니다. 

다음 주에는 토니 블링큰 국무부 부장관이 방한하여 2월 9-10일 한국 정부 당국자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정말 기대가 큰 방문입니다!  

(블링큰 부장관 방한 관련 국무부 보도자료: http://www.state.gov/r/pa/prs/ps/2015/02/237174.htm) 

고위급 인사들의 서울 방문: (왼쪽부터) 웬디 셔먼, 로즈 고테묄러, 안토니 블링큰

토니 블링큰 부장관과 저는 오랜 세월 알고 지낸 사이입니다. 처음 만난 것은 우리 둘 다 상원 외교 위원회의 보좌관으로 일할 때였습니다. 토니는 지금 부통령이 된 바이든 의원실에 있었고, 저는 당시 상원의원이었던 오바마 의원과 일했었습니다. 이후 토니는 바이든 부통령을 따라 백악관으로 자리를 옮겨 부통령 국가 안보 보좌관으로 일했고, 제가 국가 안보 회의 비서실장을 맡으면서 우리는 백악관에서 또 함께 일하게 되었습니다. 이후로도 우리의 인연은 계속되어서 토니는 국가 안보 부보좌관으로, 저는 국방부 아시아 태평양 안보 담당 차관보를 거쳐 헤이글 국방 장관의 비서실장으로 일했었습니다. 

토니의 아내 역시 현재 국무부 교육 문화 담당 차관보로 일하고 있습니다. 전에는 부통령실에서 근무했었죠. 부부 둘 다 외교 정책 쪽에 활발히 관여하고 있습니다.

토니의 아버지와 삼촌이 모두 대사를 지낸 분들이라 저는 이번에 토니가 대사직 수행과 관련해 도움이 될만한 조언을 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토니는 또 열광적인 월드컵 축구 팬입니다. 심지어는 상원 외교 위원회 회의에서도 옐로우 카드와 레드 카드를 꺼내 들어 모두를 웃겼던 적도 있습니다. 분명히 이번 아시안컵도 열심히 봤을거고 한국 팀의 성과를 자랑스러워 했으리라 생각합니다.

토니는 또 한국 음식에 대한 얘기를 정말 많이 들었다면서 이번에 한국에 와서 꼭 맛있는 한국 음식도 먹고 문화 명소들도 몇 군데 가보고 싶다고 했습니다. 그의 서울 방문이 의미있고 흥미로울 것 같아 기대가 큽니다!

그런데 사실 이번 주에 서울에 온 VIP가 한 명 더 있습니다. 바로 저의 장모님 메리 여사입니다. 장모님께서는 한 달간 우리와 함께 지낼 예정인데요, 관저에 있는 손님용 공간인 영빈관(리게이션 하우스)에 모셨는데 정말 마음에 들어하십니다. 제 아들 세준이는 장모님의 네번째 손주입니다. 세준이는 이미 외가쪽으로 사촌이 세 명 있거든요. 제 아내 로빈의 오빠의 아이들인 알렉스와 와이엇은 보스턴에 살고 있습니다. 로빈의 오빠는 골드만삭스를 다니며 바쁜 와중에도 아이들을 하키 연습에 데려다 주곤 합니다. 또 다른 조카인 퀸은 외과의사인 로빈 언니의 딸인데 지금 시애틀에 있습니다. 제 장인어른, 로빈의 아버지는 지금은 돌아가셨지만 저명한 신경외과 의사셨습니다. 그 분이 집필한 책이 아직까지도 사용되고 있을 정도인데 제목은 “Operative Neurosurgical Techniques”입니다. 얼마 전 역시 신경외과 의사 출신인 정의화 국회 의장님을 뵈었는데, 의장님께서 이 책을 알고 계셔서 참 반가웠습니다. 저의 장인어른 슈미덱 박사님과 신경외과를 주제로 재미있게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장모님께서는 이번에 한국에 오시면서 손주들을 다 보고 오셨답니다. 보통 미국에 계실 때는 보스턴과 버몬트를 왔다갔다하면서 지내시거든요. 이번이 첫 한국 방문이라 어디를 모시고 갈 지 고민을 많이 했는데 불고기, 김치찌개, 삼계탕은 꼭 대접할 예정입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치맥(한국식 프라이드 치킨과 맥주)도 꼭 드셔보셨으면 합니다. 혹시 여러분께서 추천하고 싶은 장소나 식당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세준이라는 매력덩어리로부터 장모님을 떼어내기가 쉬운 일은 아니지만 벌써 바깥 나들이를 시작하셨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도 다녀오셨습니다. 미국에 돌아가시기 전까지 아름다운 도시 서울의 여러 곳을 보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In January 2014,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was the first Foreign Minister to visit the U.S. during that year.  This visit was key in shaping our bilateral agenda for the upcoming year.  In the U.S., it was thought of as such a good idea that the State Department decided to replicate it and send not one, but three high-ranking officials to the Republic of Korea in early 2015.

Last week we welcomed Wendy Sherman, the Under Secretary of State for Political Affairs, and Rose Gottemoeller, the Under Secretary of State for Arms Control and International Security.  Wendy has had a long involvement with Korean issues and has many old friends here in Seoul.  She had a very productive visit and said that she wants to come back again very soon.  Rose is a well-known nonproliferation expert and also had a great visit – engaging in high level conversations on critical nonproliferation and security issues. 

Next week, Deputy Secretary of State Antony Blinken will arrive for meetings in Seoul on February 9 and 10.  I am very excited for his visit!

(State Department announcement on his visit: http://www.state.gov/r/pa/prs/ps/2015/02/237174.htm
 
High level visitors in Seoul:  (L-R) Wendy Sherman, Rose Gottemoeller and Antony Blinken

Tony and I have known each other for many, many years.  We met when we both worked as staff members for th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in the United States Senate; he worked for then-Senator Biden and I worked for then-Senator Obama.  Tony moved with Senator Biden to the White House, serving as the National Security Adviser to the Vice President and we worked together in the White House while I was the Chief of Staff at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Our paths continued to overlap when Tony was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or and I was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 Asian and Pacific Security Affairs and later Chief of Staff to Secretary Hagel. 

His wife is also with the State Department as the Assistant Secretary for Educational and Cultural Affairs.  Previously, she served on the Vice President’s staff.  They are quite active in foreign policy.

Tony’s father and uncle were also ambassadors, so I wonder if he might give me some helpful job tips while he is here.  He is also a big World Cup soccer fan.  At the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meetings, he would hand out yellow and red cards to members which everyone found very funny.  I am sure he followed the Asian Cup closely and was proud of the South Korean team’s performance.

Tony also told me that he has heard a great deal about Korean food and wants to get out and eat some delicious Korean dishes and see a few cultural highlights while he is here.  We’re looking forward to a very substantive and fun trip! 

Another VIP arrived in Seoul this week - my mother-in-law, Mary, will be with us for a month.  She is in our guest house, the Legation House, and loves it.  Sejun is her fourth grandchild.  Sejun already has three cousins on Robyn’s side.  Her brother’s children Alex and Wyatt live in Boston.  Her brother is busy working for Goldman Sachs and driving the boys to hockey practice.  My niece Quinn is in Seattle with Robyn’s sister, who is a surgeon there.  Robyn’s father was a well-respected neurosurgeon before he passed away, and the textbook he authored is still in use today – it is called “Operative Neurosurgical Techniques”.   It was so nice to find out that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Chung Ui-hwa, who is a former neurosurgeon, was aware of the textbook and we had an interesting conversation about Dr. Schmidek and both of their work in the field of neurosurgery.

Mary was able to see all of the grandchildren on her way here.  She normally splits her time between Boston and Vermont.  Since it is her first time to Korea we are thinking of places to bring her and definitely want her to try bulgogi, kimchi-jjigae and samgyetang!  I think she should also try my favorite, chimaek (Korean-style fried chicken and beer).  If you have any places or restaurants that we should be sure to bring her to, please let me know!  It might be hard to coax her away from the main attraction of Sejun, but she is already out and about – she visited the Seoul Deoksugung-guan branch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 am sure she will get to see a great deal of this beautiful city before she goes back to the U.S.
여러분이 아시다시피 저희 부부는 첫 아이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1월 18일 저녁, 의사 선생님과의 통화 후 아기가 태어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병원으로 향했습니다. 다음날 이른 아침, 아내에게 진통이 왔다는 생각이 다시 들어 의사 선생님께 전화를 드린 후 병원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리고 1월 19일 저녁 7시 1분에 저희 아들 세준이가 태어났습니다.

리퍼트 가족의 새로운 식구

아이를 한국에서 낳은 것은 큰 경험이었습니다. 저희는 병원의 서비스와 보살핌에 크게 감명 받았습니다.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이신 린튼 박사님과 산부인과 조박사님, 그리고 연세 세브란스병원 모든 분들께 매우 감사한 마음입니다. 저희들에게 좋은 경험의 기회를 주신 훌륭한 의료전문인들이십니다.


아내 로빈과 조박사님

세준이의 정식 이름은 제임스 윌리엄 세준 리퍼트입니다. 제임스는 제 아버지의 이름이고, 윌리엄은 아내의 할아버지 이름입니다. 저희는 끝까지 아기의 성별을 미리 알고 싶지 않았습니다. 딸일 것 같다는 느낌이 있었기 때문에 아들 이름을 많이 생각해두지 않았는데요, 아들이건 딸이건 상관없이 아기가 보낼 한국에서의 시절에 특별한 부분으로서 중간 이름(middle name)은 한국식으로 짓고 싶었습니다.

아내가 아직 임신 중일 때 한국식 이름을 몇 개 생각해놓았고, 이곳 서울 친구들의 생각과 조언을 듣기 위해 이름들을 공유했습니다. 한국인 친구들과 저녁을 하면서 얘기하던 중에 사주에 대해 듣게 되었습니다. 좋은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주 전문가에게 물었더니 세 개의 이름을 추천해주셨고, 아이의 운세에 대한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세준”이라는 이름이 꼭 맞는 것 같았습니다. 이름의 의미, 한자, 한글, 소리까지 좋았습니다. 사실, 짖거나 꼬리를 흔들거나 냄새를 맡는 방식으로 아기와 소통하려는 그릭스비를 제외하고는, 저희 부부 및 모든 사람들이 세준이라는 한국 이름으로 아들을 부르고 있습니다.


"세준”의 뜻

물론 형이라 할 수 있는 그릭스비도 새로운 가족을 환영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항상 아기 냄새를 맡으려고 하고, 꼬리를 흔듭니다. 아기에 대해 무척 호기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아내도 건강히 잘 있습니다. 한국 육군참모총장 내외께서 산후조리에 도움이 되는 미역을 선물해주시기도 했습니다. 아기를 돌봐주실 한국 보모님도 찾았는데요, 영어, 한국어, 중국어를 구사하신답니다. 저희가 부모가 될 수 있도록 도움도 주시고, 한국 관습도 알려주시며, 세준이에게 한국어로 이야기하십니다. 경험도 많으시고 꼼꼼하고 적극적인 분이셔서 저희 가족을 잘 챙겨주십니다.


세준이를 반겨주는 큰 형 그릭스비

물론 저도 제 몫을 하고 있습니다. 제 여동생들한테 큰오빠 노릇을 하던 시절에 배웠던 기저귀 가는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10살 때 막내 여동생이 태어났고, 당시 저는 부모님을 돕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요즘 기저귀는 사용법이 훨씬 쉽습니다!)

세준이와 아빠

저희 가족을 성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따뜻한 메시지를 보내주신 모든 한국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버몬트 주를 대표하시면서 미국 의회 최고참 상원의원이시기도 한 레히 의원께서 격려의 메시지를 보내주셔서 기뻤습니다. 의원님 밑에서 일하던 시절 아내와 만났기 때문에 소식을 듣고 그 시절을 추억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장모님께서 곧 서울에 오실 예정입니다. 장모님께 세준이와 한국을 소개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As you know, my wife and I have been expecting our first child.  On the night of January 18, after calling the doctor, we went to the hospital, thinking the baby might be on its way.  Early the next morning, again thinking Robyn might be in labor, we called the doctor and were told to go back to the hospital.  On January 19 at 7:01pm, our son Sejun was born.

 
A new addition to the Lippert family

It was a great experience to have our baby born in Korea.  We were so impressed with the level of service and care we received at the hospital.  We are extremely grateful to Dr. Linton, the head of Severance Hospital, Dr. Cho, our obstetrician, and the entire team at Yonsei-Severance.  They are wonderful medical professionals that allowed us to have a fantastic experience.

  Robyn and Dr. Cho

Sejun’s full name is James William Sejun Lippert.  James and William are the names of both my father and my wife’s grandfather.  We had not wanted to know the baby’s gender in advance to keep it a surprise!  We had a feeling that the baby was a girl so we had not thought of many boys’ names, but knew that, regardless of a boy or a girl, we wanted our child to have a Korean middle name – as a special part of his or her history here in the Republic of Korea.  

While we were expecting, we had thought of possible Korean names and we shared possible ideas with Korean friends here in Seoul to get their thoughts and advice.  Talking with some Korean friends over dinner, they mentioned the “saju” process.  We liked the idea and after consulting with a “saju” specialist, we were given three possible names and our baby’s fortune. The name Sejun seemed just right.  We liked the meaning, the Chinese characters, the Hangeul, and the way the name sounded.  In fact, my wife and I -- and everyone -- are calling him by his Korean name, Sejun (except maybe Grigsby who “talks” to Sejun by barking, wagging his tail and trying to sniff him).

 The meaning of “Sejun”

Of course “big brother” Grigsby helped to welcome the new family member to our home.  Grigsby is always sniffing the baby and wagging his tail. He is very curious about the baby.  Robyn is also doing well.  The Korean Army Chief of Staff and his wife gave us some seaweed which is sure to be helpful in the recovery process.  We have found a Korean helper to assist us with the baby.  She speaks English, Korean and Chinese.  She is helping train us as new parents, teaching us some Korean customs and speaking to Sejun in Korean.  She is highly qualified, detailed and rigorous -- she keeps us running a tight ship.

Big brother Grigsby welcoming Sejun

I, of course, have been doing my part as well.  I am using diapering skills I learned as a big brother to my younger sisters.  When I was ten years old, my youngest sister was born and I tried my best to help my Mom and Dad. (Luckily nowadays, diapers are even easier to use!)

 
Me and Sejun

We are thrilled with all of the well wishes we have received for our family.  Thanks to all the Koreans who have posted their kind messages for us on Facebook and Twitter.  We were also thrilled to get a note wishing us well from Senator Leahy who represents the state of Vermont and is the most senior Senator.  Robyn and I met while working for him, so it was lovely to hear from him and be reminded of those days.

Robyn’s mom will be coming to Seoul soon. We look forward to introducing her to Sejun and to Korea.
얼마 전 안동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된 수많은 한국의 문화 유산 중 하나인 하회마을에 다녀왔습니다. 저의 대사 임기 동안 한국의 모든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방문하는 것이 제 목표랍니다.  

안동에서는 우선 국립 안동대학교에 가서 학생들을 만났습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학문에 집중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영어에서 공학까지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었는데요, 성공을 향한 뜨거운 열망이 넘치는 학생들의 수준 높은 질문과 의견에 감탄했습니다. 돌이켜보면 제가 그 나이때에는 그렇게 진취적이고 열심히 노력하지도 않았고, 다른 나라 대사를 만나러 간다는 것은 생각조차 못했을텐데 말이죠. 하지만 이들은 겨울방학 중임에도 저를 만나러 와주었고, 훌륭한 질문을 하고, 한국에 대한 여러 생각을 이야기해주었습니다. 마침 안동대학교는 저의 고향 신시내티와도 가까운 켄터키 주립 대학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었습니다.  
 
안동대학교 학생들과 즐거운 토론 시간을 가졌습니다.

제가 살아오면서 도움이 되었던 이야기들을 해주었는데요, 바로 도전과 위험을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모든 일에 항상 성공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죠. 최선을 다했지만 무언가 부족해 잘 되지 않았다면 배울 점을 깨닫고 다시 시도하면 됩니다. 그리고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시도해야 합니다. 그래야 재미있는 인생을 살 수 있고, 끊임없이 배우고 나아갈 수 있습니다.    

한국에 있는 모든 학생 여러분께 알려드리고 싶은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바로 WEST프로그램과 풀브라이트 교류 프로그램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과 프로그램 관련 링크는 이 블로그 말미에 있으니 참고하세요.) 전국에 있는 모든 한국 학생 여러분들께 이들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에서 공부하고 인턴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살펴보라고 권하고 싶네요. 

그 다음으로 제가 찾은 곳은 장애 학생을 위해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영명학교였습니다. 학부모, 교직원이 모두 함께 참여하는 훌륭한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자랑하는 곳으로, 학부모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도 매우 우수하며, 선생님들도 헌신적이고 열성적이었습니다. 교사-학생 비율도 좋아서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학생들의 뛰어난 능력과 에너지, 열정에 놀랐습니다. 또 학생들이 직접 만든  커피와 떡도 맛보았는데, 정말 맛있더군요. 함께 실내 축구를 하고 나니 어찌나 지치던지요. 하나같이 축구실력이 대단했습니다.   


 
따뜻하게 맞아주신 영명학교에 감사드립니다.

학업을 중시하면서도 스포츠와 같은 다른 요소들을 적절히 조화시킨 균형잡힌 교육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게다가 한 학생은 제 이름으로 사인보드를 만들어주었는데 집에 걸어놓으려고 가져왔습니다. 앞으로 시간이 지나도 사인보드를 보면서 안동에서 만난 분들을 떠올리게 되겠지요.
 

영명학교 학생들이 정성껏 준비한 환영 사인보드입니다.

또 감동적이었던 것은 안동의 지역 예술가 한 분이 곧 태어날 저의 아이를 위해 그림을 선물하신 것인데요, 아기방에 걸어놓으려고 집에 가지고 왔습니다. 

지역 예술가에게 선물 받은 그림입니다.

저의 안동 방문 블로그에 음식 이야기가 빠지면 말이 안되겠죠. 안동에서 봉정사 자현 주지스님이 준비해주신 맛있는 음식을 먹었습니다. 백악관 셰프였던 샘 카스가 지난 여름 서울을 방문했을 때 한국의 사찰 음식에 대해 극찬한 적이 있지요.  자현 스님은 불교에 귀의한 것을 포기할 생각은 없지만, 요리책을 써보지않겠냐는 제의는 받은 적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만큼 스님 음식이 맛있다는 것이지요. 주지 스님께서는 절 내에서 직접 농사를 지어 식재료를 마련하는 것을 적극 추진해오셨는데요, 식단과 운동, 그리고 직접 먹을 음식을 마련하는 것이 모두 정신적 수양의 일부라고 생각하고 계셨습니다.  
 
봉정사에서 맛있는 사찰 음식을 대접받았습니다.

또한 하회마을을 찾아 전통 한옥 온돌방에서 하룻밤을 보냈습니다. 제 트위터 팔로워들이 온돌방 체험 소감을 궁금해하셨는데요, 아주 편안하고 아늑했습니다. 뜨끈뜨끈한 바닥에 허리를 대니 좋더라구요. 푹 자고 다음날 아침 개운하게 일어나면서, 뭔가 새롭고 다른 것을 경험하는 것이 즐겁구나하는 생각이 들었고, 안동에서의 다음 모험에 나설 준비가 되어있었답니다.      

전체적으로 안동에서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대사로서 첫 지방 방문지로 안동을 간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한국의 다른 지역을 방문해 그 곳에서 더 많은 분들을 만나기를 기대합니다.

*WEST (Work, English Study, Travel) 프로그램은 혁신적인 교류 프로그램으로, 현재까지 2,000명이 넘는 한국 대학생과 최근 대학 졸업생들이 참가해 미국에서 영어 공부와 인턴십, 여행을 하였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세요. http://www.ggi.go.kr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은 미국 정부가 지원하는 대표적인 국제 교육 교류 사업으로, 미국과 다른 국가 국민들과의 상호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합니다.   http://eca.state.gov/fulbright#sthash.WAZe2xBL.dpuf

I recently had the opportunity to visit Andong and Andong Hahoe Village, one of the many Korean sites on UNESCO’s World Heritage List.  It is my goal to see all of these sites during my time here as Ambassador.

While there, I went to Andong National University to meet with students.  I was impressed at how hardworking and academically focused they were.  They were interested in many different fields, from English to Engineering.  It was easy to see their strong ambition to succeed and I was impressed with the quality and caliber of their questions and insights.  At the same age, I was not nearly as motivated and hardworking, and wouldn’t necessarily have thought about going to talk to an Ambassador from another country.  But here they were, on winter vacation, asking excellent questions and sharing insights about Korea.  The school had a sister program with Kentucky State University, which is close to my hometown of Cincinnati.

A great roundtable session with Andong University students

I gave them some advice which has served me well, which is: Don’t be afraid to take risks.  It’s okay not to succeed at everything all of the time.  If you -- after giving it your all -- come up short, be sure to learn key lessons and then try, try again. Moreover, attempt new things out of your comfort zone. In this way you will be sure to have an interesting life and you will constantly learn and improve yourself.

Something for all students in Korea to keep in mind are our excellent WEST and Fulbright exchange programs. (Please see some more information and links for these programs at the end of my blog.)  All Korean students in every region should investigate these programs for wonderful opportunities to study and intern in the U.S.

One of my next stops was to Youngmyung School for special needs children from elementary school through college.  This school boasts a wonderful, integrated approach involving parents, faculty, and staff.  They have excellent support programs for parents and a dedicated, committed faculty.  The faculty-to-student ratio is also terrific, affording students every chance to learn and grow in confidence.  The students were highly capable, energetic and enthusiastic.  I sampled the delicious coffee they brewed themselves and their yummy rice cakes.  Playing indoor football with them wore me out!  The kids were outstanding in their football skills.
 

Thanks for a warm welcome at Youngmyung School!

It was inspiring to see how well-rounded their education is, with a strong emphasis on academics, but also incorporating other elements such as sports.  One of the students made a sign with my name on it that I took home to display in my house.  It will remind me of the people I met there in the years to come.

Memorable signboards prepared by Youngmyung School students

Another wonderful memory was a painting by a local artist given to me for my baby.  I took it home to hang it on the wall in the baby’s room.

A painting by a local artist in Andong

This travel blog entry would not be complete without a mention of the food.  In Andong, I enjoyed the wonderful food provided by Head Monk Ja-hyun at Bongjeong Temple.  Sam Kass, the former White House chef, also raved about temple food when he visited Seoul last summer.  Monk Ja-hyun isn’t interested in abandoning his spiritual pursuits, but he said he has been approached by others to write a cookbook -- that's how good his food is.  He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doption of farming and food cultivation at the temple.  He believes that diet and exercise, along with being involved in developing your own food, is all a part of spiritual life.

Enjoying great temple food at Bongjeong Temple

I also visited Hahoe Village and got to sleep in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ondol room (sleeping on the floor).  Some of my followers on Twitter were curious as to how I liked it.  The ondol room was comfortable and cozy.  The floor was warm and made my back feel great.  I awoke the next day well rested, reminded of how fun it is to try something new and different, and ready for new adventures in Andong.

Overall, I had a wonderful time in Andong, and Andong was a great choice for my first regional trip in Korea as Ambassador.  I look forward to visiting other parts of Korea and interacting with more people in the region.

*The WEST (Work, English Study, Travel) program is an innovative exchange program in which more than 2,000 university students and recent university graduates from the Republic of Korea have gone to the United States to study English, participate in internships, and travel.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WEST program visit
http://www.ggi.go.kr.

*The Fulbright Program is the flagship international educational exchange program sponsored by the U.S. government and is designed to increas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people of other countries. http://eca.state.gov/fulbright#sthash.WAZe2xBL.dpuf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