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에 열린 공관장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저는 워싱턴 DC 방문했습니다. 매년 국무장관실에서 주관하는 회의에서 미국의 목표와 우선순의를 논의하기 위해 세계에 파견된 미국 대사들와 공관장들이 모입니다. 서로를 알아가고 생각을 공유할 있는 훌륭한 기회였습니다. 디지털 외교에서 여성의 권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안의 최근 현황에 대해 국무부 고위 관리들이 브리핑을 해주었습니다. 또한 캐롤라인 케네디 주일대사, 맥스 보커스 주중대사, 리처드 버마 주인도대사를 포함한 반가운 친구들을 만날 있었습니다.

국무부과 백악관의 고위 지도자들도 연설했습니다. 토니 블링큰 국무부 부장관, 케리 국무부 장관, 바이덴 부통령 뿐만 아니라, 오바마 대통령께서 깜짝 연사로 등장했습니다!

2016 공관장 회의에 참석한 오바마 대통령, 바이든 부통령, 케리 장관(국무부 사진)

오바마 대통령께서는 미국의 가치관과 일관되게 테러와의 전쟁을 계속 수행하는 것에 대해 연설했습니다. 북한을 언급하면서 효과적인 제재를 이행하고 이같은 공통의 도전과제를 위해 세계를 결집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또한 우리는 계속해서 기후변화에 대한 약속들을 추진하고, 사이버공격 위협에 대처에 노력하고 무역협정을 완전히 이행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훌륭한 연설을 해주신 오바마 대통령께 감사드립니다!

영감을 불어넣는 연설을 하신 , 오바마 대통령께서는 공관장들에게 감사를 표시하며 계속 노력해 달라고 격려해주셨습니다. 저는 또한 오바마 대통령이 주최한 백악관 리셉션에 참석했는데, 각국의 상황에 대해 다른 대사들과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대통령께서도 이러한 대화에 관심을 보이시면서 함께 참여하셨습니다.

저는 또한 현재 미국 상원 최고 다선 의원인 레히 상원의원과 애쉬턴 카터 국방부 장관을 포함한 다른 친구들을 잠시 만나기도 했습니다.

워싱턴에서의 만남 이후 레히 의원께서 트윗을 올리셨네요! (@SenatorLeahy)

공관장 회의가 열린 다음날, 대니얼 러셀 국무부 차관보께서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우리는 아시아의 안보 문제와 지역에서 변화하는 역학관계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공관장 회의에서 안보사안에 대해 논의 중인 러셀 차관보 (@USAsiaPacific)

, 저는 핵안보정상회의 다음에 열린 한미일 3 정상회담 참석차 다시 워싱턴을 방문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한미일 3국은 조약, 무역 그리고 국민들간의 영속적인 유대로 묶여있는강력한 관계라는 점을 강조한 중요한 회담이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워싱턴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 기간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총리를 만났습니다. (AP 사진)

한미일 3 안보 협력은 대북 방위 협력 차원에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에 핵심적입니다. 우리 모두는 북한의 위협과 확산으로부터의 방어에 공통의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동북아시아 안보를 비롯해 기후 변화 문제 해결, ISIL 문제, 그리고 여성과 소녀의 권익 신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습니다. 또한 3국은 사이버, 우주, 미국을 치유 국가로 만들기 위한 바이든 부통령의 노력 등에 있어서도 함께 협력하고 있습니다. 블링큰 국무부 부장관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우리 3 협력 파트너십은 자유에 대한 믿음, 규칙의 존중, 그리고 야구 경기는 반드시 이기고 싶은 마음까지 우리가 함께 공유하는 것이 얼마나 많은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얘기야말로 3 협력을 표현해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싱턴에 돌아가서 제가 자주 다니던 동네 식당 벨가까페, 그릭스비가 좋아했던 강아지 공원 등등 단골 장소를 방문하는 것도 즐거웠습니다!

이곳은 벚꽃이 피기 시작했고, 시내 타이들 베이슨 호수 지역의 풍경도 정말 아름다웠습니다.
Last month I traveled to Washington, D.C. to attend the Global Chiefs of Mission conference.  This annual conference is organized by the Office of the Secretary of State and brings together Ambassadors and other Chiefs of Mission from around the world to discuss our goals and priorities.  It was a great opportunity for us to share ideas and collaborate on global and regional issues.  High-level State Department officials provided updates on everything from digital diplomacy to women’s rights.  I had the pleasure of seeing many of my good friends including Ambassador to Japan Caroline Kennedy, Ambassador to China Max Baucus, and Ambassador to India Richard Verma.

We also heard from senior leadership of the State Department and White House.  Speakers this year included not only Deputy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Tony Blinken, Secretary of State John Kerry, and Vice President Joe Biden, but also President Obama, who was a surprise guest speaker!

President Obama, Vice President Biden and Secretary Kerry at the 2016 Chiefs of Mission Conference (State Department photos)

President Obama spoke about continuing our fight against terrorism in a way that is consistent with our values.  He mentioned North Korea, and making sure that we’re enforcing effective sanctions and mobilizing the world to meet shared challenges like this one.  We must also continue to push ahead with our commitments on climate change, work on threats from cyber-attacks and global health, and fully implement trade agreements.

Thank you for the great speech Mr. President!

President Obama’s speech was inspiring and, at the end, he thanked us for our efforts and encouraged us to stay the course.  I also had the honor of attending a reception at the White House hosted by President Obama.  At the reception, I had the opportunity to speak with other Ambassadors about what is going on in the countries where we serve, and the President was very engaged and interested in these discussions.

I also had the opportunity to visit briefly with some other friends in DC, such as Senator Leahy, who is now the most senior senator in the U.S. Senate, and Secretary of Defense Ash Carter.

Senator Leahy’s tweet after our encounter in DC (@SenatorLeahy)

On the day following the Global Chiefs of Mission conference, Assistant Secretary for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Daniel Russel, chaired a conference for the East Asia and Pacific (EAP) region and discussed Asian security issues and shifting dynamics in the region.

Assistant Secretary Russel discusses East Asia Pacific security issues at the EAP Chiefs of Mission Conference. (Twitter: @USAsiaPacific)

I traveled back to Washington, D.C. a few weeks later to attend the trilateral meeting between the U.S., the ROK and Japan following the Nuclear Security Summit.  It was an important meeting where President Obama highlighted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our three countries, “bound together by treaty, by trade and by the enduring bonds between our peoples.”


President Obama meets with President Park and Japanese Prime Minister Abe during the Nuclear Security Summit in Washington. (AP photo)


This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s essential to maintaining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as we combine our efforts to defend against North Korea.  We have a shared commitment to defend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threat and proliferation.

In addition to Northeast Asian security, we also talked about issues ranging from plans for combatting climate change and ISIL to promoting the empowerment of women and girls.  We are also working together in cyber-space, outer-space, and on Vice President Biden’s effort to cure cancer.  And, as Deputy Secretary Blinken said, “our trilateral partnership reflects the great depth of all we share:  a belief in freedom, a respect for the rules, and an unyielding desire to win at baseball.” I think that sums it up well.

It was great to be back in DC and visit some of my old haunts, including one of my favorite neighborhood restaurants, Belga Café, and Grigsby’s favorite dog park!

The cherry blossoms were starting to bloom and, of course, the view around the Tidal Basin in downtown DC was beautiful.
코리아 소사이어티가 서울에서 개최한 행사에 참석한 적이 있습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뉴욕에 기반을 비영리 민간 기관으로 한국민과 미국민들 간의 이해와 인식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목표는 제가 추구하는 목표와 들어맞는 것이어서 저는 여기서 열리는 행사에 언제나 즐겁게 참석합니다. 다루는 프로그램 역시 정책, 교육, 예술 다양합니다. 한미 FTA부터 K-뷰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로 얘기를 나누는 팟캐스트 시리즈도 있답니다! (링크: http://feeds.koreasociety.org/tkspodcasts)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웹사이트에 가보면 이렇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1957 당시,한국 전쟁 막바지에 미군을 총괄한 제임스 밴플리트 사령관을 주축으로 저명한 미국 인사들이 모여 세운 기관으로, 한국민과 미국민들간에 서로의 문화, 목표, 이상, 예술, 과학, 산업에 대한 상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기관이며이런 목적으로는 미국에서 처음 세워진 기관입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 행사 참석자들과 즐거운 대화를 나눴습니다.

현재의 정치, 경제 사안들을 얘기했습니다.

현재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은 작년 8월에 취임한 토마스 회장입니다. 회장은 오래 한국에서 평화 봉사단으로 3년간 활동했었고 금융 분야에 경력을 갖고 있으며 오랫동안 한국에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에너지가 넘치고 의지가 강한 분으로 회장 취임 이후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공공 이벤트와 대중에 다가가는 노력을 더욱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스캐퍼로티 사령관이 현재 한반도의 상황에 대해 전반적인 브리핑을 했습니다. 역시 현재의 정치 경제 환경과 한미 동맹을 내용으로 발표를 했구요. 참석자들 중에는 월터 샤프 장군을 비롯해, 현재 코리아 소사이어티 이사회 이사장으로 계신 토마스 허바드 주한미국대사, 손경식 CJ 회장, 이동식 휠라 코리아 전무 각계 각층에서 참석해 주셨습니다. 여러분들, 만나뵙게 되어 반가웠습니다!  

스캐퍼로티 사령관과 허바드 주한미국대사와 함께


코리아 소사이어티에 대해 궁금한 있으시면 홈페이지 www.koreasociety.org 방문해보세요
A few weeks ago I attended a great outreach event hosted by the Korea Society here in Seoul.  The Korea Society is a private, nonprofit group based in New York City that promote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people of South Korea.  Since this goal dovetails with my own mission, I always enjoy meeting with them and attending their events when possible.  Their programs span policy, education, the arts and much more.  They even have a podcast series discussing everything from the KORUS FTA to K-Beauty!  (Link: http://feeds.koreasociety.org/tkspodcasts)

The Korea Society has a long history.  According to their website:

The Korea Society traces its roots to 1957 when a group of prominent Americans, under the leadership of General James A. Van Fleet, who commanded the U.S. armed forces in the final phase of the Korean War, established the first nonprofit organization in the United States dedicated to the promotion of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ir respective cultures, aims, ideals, arts, sciences and industries." 

I enjoyed nice conversation with guests at the Korea Society event

Discussing current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Thomas Byrne is the current President, having joined in August last year.  He has a background in finance and a long-time interest in Korea, when he served here for three years as a Peace Corps volunteer many years ago.  He is energetic and committed to the organization and, under his leadership, the Korea Society is expanding its outreach and engagement. 

At the event, General Scaparrotti gave a great overview of the state of affairs on the Korean Peninsula.  I also gave remarks about the current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and this great Alliance our two countries have.   Other notable attendees included General Walter (Skip) Sharp, Former Ambassador to the ROK, Thomas Hubbard – who is the Chairman of the Board of the Korean Society, Chairman of CJ Cheiljedang Corporation Sohn Kyung-Shik, and Director of Fila Sport Lee Dong-Shik.  It was great to see everyone!

With General Scaparrotti and Former Ambassador Hubbard at the Korea Society event

For more information on the Korea Society, you can visit their website www.koreasociety.org.


미국 바둑협회에 따르면 바둑의 역사는 무려 2500년 혹은 그보다 훨씬 전인 4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합니다. 바둑은 중국에서 유래하여 한국 및 전세계로 퍼져나갔습니다. 한국에서 프로바둑기사가 65년 전 처음 나오기 시작해, 최근 수십년 간 한국은 바둑의 세계를 점령해왔습니다. 2004년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바둑이 “순수한 정신적 기술로 승부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생존 게임”이라고 하면서, 바둑에서 인간을 이길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10년 만에 얼마나 많은 것이 바뀌었는지요! 

얼마 전 구글 딥마인드에서 마련한 이세돌 9단과 구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와의 챌린지 매치 기념 갈라 디너에서 저는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바둑 두 분야의 천재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저녁 식사자리에서 구글 프로그래머 제프 딘과 함께 (사진 제공: 구글)

이세돌 9단과 전 구글 CEO이자 지금 구글 지주회사 알파벳의 에릭 슈미트 회장을 만날 수 있어서 정말 기뻤습니다. 체스와 비교해서 바둑은 경우의 수가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컴퓨터가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조합해 계산하기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최고의 바둑기사는 보통 직관과 경험에 의거해 두는 경우가 많아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를 절대 따라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죠. 

(왼쪽부터) 구글 딥마인드 CEO 데미스 하사비스, 한국의 이세돌 9단, 구글 지주회사 알파벳의 에릭 슈미트 회장이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습니다. (AP 사진) 

이번 대국을 준비하기 위해 알파고는 스스로 바둑을 두면서 최고 바둑 기사들의 경기 방법을 “학습”했습니다. 그렇게 보면 이제 인공지능이 이렇게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은 향후 복잡한 의료, 과학 문제를 푸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가능성을 보였다고 할 수 있죠. 인공지능이 앞으로 이 분야에서 전에 상상하지 못했던 커다란 돌파구를 마련해줄 수도 있습니다.  


알파고 대 이세돌9단 (AP 사진)

이세돌 9단은 알파고의 승리에 대해 너무 낙담하지 말았으면 합니다! 이세돌 9단은 분명 최선을 다했고 한 경기를 이겼으며 벌써 재대결을 요청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스탠퍼드 대학 인공지능 연구소의 컴퓨터 과학자인 페이페이 리 소장의 말을 다음과 같이 인용했습니다. “저는 전혀 놀랍지 않았습니다. 가장 빠른 인간보다도 자동차가 더 빨리 달린다는게 놀랄 일인가요?”    

현장에서 대국을 볼 수 있어서 정말 즐거웠습니다. 이세돌 9단과 구글 팀 모두에게 그동안의 노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