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계 증진, 특히 양국의 핵심 공통 가치인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활발한 시민사회를 촉진하는데 기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돈 오버도퍼는 공정하고 사실적인 보도로 이런 노력에 기여한 대표적인 기자였습니다. 프린스턴 대학을 졸업한 뒤 그는 미 육군으로 한국에 왔고, 후에 워싱턴 포스트 기자로 활동하면서 한국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의 보도로 미국인들은 한국과 한국 국민이 직면한 여러 과제, 그리고 미국이 지원과 협력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기자 생활을 하는 동안 그는 내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수여하는 Edwin M. Hood 외교 특파원상, 조지타운 대학에서 매년 수여하는 Edward Weintal 외교 기자상을 비롯한 많은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특히, 오버도퍼는 한반도의 역사를 탁월하게 기술했다고 평가받는 저서, ‘두 개의 한국’ 으로 잘 알려져있습니다. 


돈 오버도퍼의 저서, “두 개의 한국”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저는 미국 대사관에서 돈 오버도퍼상을 제정해 그의 삶과 일에서 엿볼 수 있었던 수준 높은 저널리즘 정신을 보여주고 있는 기자를 선정해 수여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요, 그러한 결정이 내려진 후, 대사관에서는 한미클럽에 수상자 선정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하였습니다. 전 주미한국대사이신 이태식 대사님께서 한미클럽의 존경받는 기자들로 구성된 수상자심사위원회 위원장을 맡아주셨고, 이 위원회에서 여러 쟁쟁한 후보들 가운데 수상자를 선정하였습니다. 대사관에서는 수상자 선정에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았고, 모든 결정을 심사위원회 기자들과 위원들에게 일임하였습니다.


한미 관계에 대한 뛰어난 보도로 새롭게 제정된 돈 오버도퍼상의 첫 수상자로 선정된 연합뉴스의 노효동 기자, 축하드립니다.

이에 따라 지난 10월 4일, 주한미국대사관은 한미 관계에 대한 탁월한 보도를 인정받아 돈 오버도퍼상 초대 수상자로 선정된 연합뉴스 노효동 기자에게 상을 수여하였습니다. 돈 오버도퍼의 아들 대니얼 오버도퍼와 그 아내가 시상식에 참석하여 더욱 빛났던 자리였습니다. 대니얼은 어렸을 때 아버지와 함께 한국을 찾은 후 다시 한국을 방문한 것이였는데요, 그는 원래 아버지의 뒤를 이어 기자로 10년 넘게 활동하다가, 후에 법을 공부해 지금은 미네소타 에서 상을 받은 명망있는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대니얼 오버도퍼는 탁월한 저널리즘을 기리는 이 상을 보면 아버지가 무척 감격하고 자랑스러워하셨을 거라고 이야기하였습니다. 그는, “아버지는 평생을 저널리즘, 한국의 민주주의, 한미 관계에 헌신하신 분이셨습니다. 저는 아버지의 저널리즘 정신을 기억하게 해 줄 오버도퍼상이 제정된 것을 무척 기쁘게 생각합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노효동 기자와 대니얼 오버도퍼, 그의 아내 에블린이 함께 포즈를 취했습니다.

또한 시상식에는 이태식 전 주미한국대사님을 비롯, 올해의 수상자 선정에 도움을 주신 한미클럽의 회원들과 임성남 외교부 제 1차관도 참석해주셨습니다. 특히 시상식에는 참석하지 못하셨지만 봉두완 한미클럽 회장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봉 회장님의 강력한 지지와 리더십이 없었다면 이 상은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이렇게 의미있는 행사에 와주신 여러분 모두 감사드립니다. 

수상자인 노효동 연합뉴스 정치부 차장은 20년이 넘는 기자생활을 하면서 빛나는 경력을 쌓아왔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미국 정책과 북한, 한반도, 한미 관계와 관련한 다양한 시각을 보도해왔습니다. 최근에 지난 3년간의 워싱턴 특파원 생활을 마치고 귀국하였는데요, 그의 활발하고 균형잡힌 보도는 한미 관계 강화에 기여하였습니다. 이태식 대사님에 따르면, 심사위원회에서 노효동 기자가 만장일치로 결정되었다고 하네요.


노효동 기자가 돈 오버도퍼상 시상식에서 수상 소감을 밝히고 있습니다. 

한국을 방문해 준 대니얼 오버도퍼와 그의 아내, 그리고 훌륭한 수상자를 선정하는 데 도움을 준 한미클럽 심사위원회, 그리고 기자로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노효동 기자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돈 오버도퍼의 정신이 한미 관계를 보도하는 모든 기자들에게 지속적인 영감이 되어 양국의 핵심 가치인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활발한 시민사회를 증진하는데 기여하는 수준 높은 보도로 이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It is undeniable that journalists play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the U.S.-ROK relationship, particularly in enhancing our core shared American values of free speech, freedom of the press and a robust civil society.  Don Oberdorfer was a prime example of a journalist who contributed to this advancement with his unbiased and factual reporting.  After graduating from Princeton University, Oberdorfer went to South Korea with the U.S. Army.  He would later find himself spending a lot of time in Korea while working for The Washington Post.  His reporting helped Americans understand Korea, the challenges faced by its people, and how the United States could provide assistance and cooperation.  Over the course of his career, he received many awards, including the National Press Club’s Edwin M. Hood Award for diplomatic correspondence and Georgetown University’s annual Edward Weintal Prize for diplomatic reporting.  Oberdorfer was also well-known for his book, The Two Koreas, which contains a highly regarded account of the Korean Peninsula’s history.


“The Two Koreas” by Don Oberdorfer 

In order to recognize his contributions, I thought it would be fitting for the U.S. Embassy to create the Don Oberdorfer Award to acknowledge journalists who adhere to the same high standards of journalism that were exemplified in his life and work.  After the decision to create this award was made, the U.S. Embassy asked the Hanmi (Korean-American) Club to assist by selecting a worthy recipient.   Former Ambassador to the U.S. Lee Tae-sik chaired a committee comprised of respected journalists from the Hanmi Club who selected a winner from a group of highly-qualified candidates.  The Embassy played no role in the selection, leaving that critical decision to the journalists and others on the panel.


Congratulations to Mr. Roh Hyo-dong of Yonhap News, the first recipient of the newly established Don Oberdorfer Award for excellence in reporting on U.S.-ROK relations!

On October 4, U.S. Embassy Seoul presented the first annual Don Oberdorfer Award to Yonhap News reporter Roh Hyo-dong for his excellence in reporting on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We were very fortunate to have Don Oberdorfer’s son, Daniel Oberdorfer, and his wife in attendance for the award ceremony.  Daniel returned to Korea after having visited with his father on one of his trips when he was younger.  Initially following in his father’s footsteps and working as a reporter for over 10 years, Daniel later decided to study law and is now an award-winning litigator based in Minnesota.

Mr. Oberdorfer expressed how pleased and proud his father would have been to see this award recognize great journalism.  “My father devoted his life to journalism, democracy in Korea, and the ROK-U.S. relationship.  I am happy that I was able to witness the establishment of the Oberdorfer Award, which will help remember my father’s spirit of journalism.”

Mr. Roh with Daniel Oberdorfer and his wife, Evelyn

Also in attendance were members of the Hanmi Club who graciously assisted in selecting this year’s recipient of the award, including former Ambassador to the U.S. Lee Tae-sik, and First Vic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Lim Sung-nam.  I especially want to recognize and thank Hanmi Club Chairman Dr. David Pong, who was unable to join us for the ceremony.  Without Dr. Pong’s strong support and leadership, this award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hank you all for joining us at this meaningful event!

The award winner, Roh Hyo-dong, is the Assistant Political Editor at Yonhap News with an illustrious career in journalism that spans over 20 years.  He has spent the past decade reporting on U.S. policy and various other viewpoints related to North Korea, the Korean Peninsula, and U.S.-ROK relations.  He recently returned to South Korea after a three year assignment as a foreign correspondent in Washington, DC.  His robust and balanced reporting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of U.S.-ROK relations.  According to former Ambassador Lee, the award committee selected Mr. Roh by a unanimous vote.

Mr. Roh giving remarks at the Don Oberdorfer Award ceremony

I would like to personally thank Daniel Oberdorfer and his wife for making the trip to Seoul, the Hanmi Club committee for helping to select such a worthy award recipient, and Roh Hyo-dong for his excellent work.  I hope the spirit of Don Oberdorfer will help inspire all of the journalists reporting on the U.S.-ROK relationship to continue their high quality reporting that serves to strengthen our core values of free speech, freedom of press, and a robust civil society.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저는 항구도시 부산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아홉번째 방문에선 수상스키 수트를 입고 바다로 나설 기회도 가졌습니다. 부산에 도착해서 하룻밤을 보낸후 아침 일찍 영도에 위치한 한국해양대학교를 방문했습니다.

해양대 총장님, 교수님들, 학생들과 함께

1945년에 설립된 해양대는 4개의 단과대학, 5개의 대학원, 그리고 10,200 이상의 학생을 두고 있는 대학교입니다. 해양과학 공학 전공이 설치된 한국 유일의 대학이기도 하죠. 윤보선, 박정희, 이명박 대통령도 대학을 방문했던 역사가 있습니다. 2015 연안정화활동, 그리고 올해 초 제가 참여한 릴레이 수영 경기 서울 미국대사관과 부산 미국영사관 역시 해양대와 협력한 기억들이 있습니다.

따뜻하게 맞아주신 박한일 총장님께 감사드립니다!

최근 재선출된 박한일 총장님과 수상스키를 가르치시는 장재용 교수님과 인사를 나눈 , 교수님 수업을 듣는 학생들과 만나서 그들의 꿈에 대한 얘기를 나눴습니다. 수상스키 자체로도 정말 좋은 경험이었고, 수업에 참여할 있도록 배려해주신 해양대 측에 감사드립니다. 이후에는 학생들과 함께 점심으로 치킨, 피자를 먹으면서 대화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학생들과의 점심 시간

점심이후 오륙도 투어를 위해 박한일 총장님과 보트를 탔습니다. 가수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가사에 오륙도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박한일 총장님은 좋은 목소리로 노래의 일부를 들려주셨습니다.

오륙도 보트투어(사진제공: 한국해양대학교)

오륙도 전경

오륙도 이름의 기원을 아시나요? 오륙도는 문자 그대로 다섯, 여섯 개의 섬이라는 뜻입니다. 밀물 때는 여섯 개의 섬이 보이지만, 썰물 때는 섬의 아랫부분이 붙어있어서 다섯 개의 섬이 됩니다. 그래서 오륙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섬이 보이느냐와 상관없이 매우 아름다운 경치였고, 이번 방문을 즐겁고 기억에 남게 만들어주신 박한일 총장님, 장재용 교수님, 그리고 해양대 학생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As many of you already know, I have spent a lot of time in the port city of Busan.  For my ninth visit, I had the opportunity to put on a wet suit and head out on the ocean for some water skiing.  Once I arrived in Busan, after a good night’s rest, I headed out bright and early the next morning to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KMOU) located in Yeongdo-gu.

Photo with the KMOU president, professors, and students

KMOU was established in 1945 and is comprised of four colleges, five graduate schools, and has over 10,200 students.  It is the only university in Korea that specializes in maritime sciences and engineering.  Over the years, the university has seen visits by Korean Presidents Yun Posun, Park Chung-hee, and Lee Myung-bak.  The U.S. Embassy in Seoul and Consulate Busan have collaborated with the university several times in the past including our Coastal Cleanup Day Diving Project in 2015 and a relay swim that I participated in earlier this year.

Thank you President Park for your warm welcome!

I was greeted by KMOU President Park Han-il, who has recently been re-elected to a second term, as well as one of the water ski instructors, Professor Jang Jae-yong.  After speaking with them, I headed off to attend one of Professor Jang’s classes to speak with the students about their personal aspirations.  The water skiing itself was a great experience and I am thankful to KMOU for letting me take part in their class.  Afterwards, I had a nice discussion with the students over a delicious lunch of fried chicken and pizza.


Enjoying a nice discussion over fried chicken with the students

After lunch, I joined President Park Han-il on a boat tour of the Oryukdo islets.  There is a popular Korean song called “Come Back to Busan Port” by Cho Yong-pil that mentions the Oryukdo islets.  President Park Han-il shared a rousing rendition of the song on our tour with his great singing voice.

A boat tour of the Oryukdo islets (KMOU photo)

A sneak peek of the Oryukdo islets

Do you know how the islands got their name?  Literally translated, Oryukdo means “Five-Six Island.” When the tide is high, there are six visible islands.  However, when the tide is low, a small land-bridge that connects two of the islands becomes exposed, turning two of the islands into a single larger one—hence the name, “Five-Six Island.”  Regardless of how many islands are showing, they are very beautiful, and I want to thank President Park Han-il, Professor Jang Jae-yong, and all of the students and staff at KMOU for making this trip so fun and memorable.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안전을 찾아 자신들의 고향을 떠났습니다. 난민들은 엄청난 어려움과 상실에 직면해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우리는 이같이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하고 있는 이들에게 인도주의적인 원조를 제공하는 우리의 노력을 계속해서 증가시켜야 할 것입니다.

난민 가족의 그림자 (사진제공: AP)

지난 9월20일, 제71차 유엔총회 정상회의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 시대의 큰 시련을 극복하기 위한 지도자들의 노력을 배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바로 그 전날, 유엔총회에서 난민과 이주자에 관한 뉴욕 선언이 합의되었습니다. 이 선언은 세계적인 차원에서 난민들에게 원조를 제공하고자하는 지속가능하고 좀 더 포괄적인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난민정상회의에서 연설하는 오바마 대통령 (사진제공: UN)

오바마 대통령의 정상회의 참석이후, 윤병세 외교부 장관께서도 한국정부가 향후 3년동안 난민에 대한 다자적 인도주의 지원에 2억3천만달러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했습니다.

난민 정상회의에 참석한 윤병세 외교부 장관

한국정부가 난민 원조를 위해 노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12년 난민법의 일환으로 새로운 난민 정착 프로그램하에 한국에는 이미 난민들이 도착했습니다. 또한 향후에도 추가적으로 난민들을 받아들일 예정입니다. 지난 몇 년동안 시리아와 이라크 난민 가족들을 지원하기 위해 5000만 달러 이상을 제공했습니다.

위기를 극복하는데 민간부문이 기여할 것을 요청하면서 6월의 “행동의 촉구” 후속조치로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의 재계 지도자들과도 만났습니다. 그 결과 미국 전역의 51개 기업이 원조와 지원에 6억5천만 달러 이상을 제공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집을 잃고 국경을 넘는 사람들의 숫자가 2100만명 이상인 현재, 유엔난민기구와 더불어 미국과 한국은 함께 매우 중요한 일을 할 수 있고 글로벌 위기에 직면해 행동을 취할 수 있습니다.  국제사회와 함께 우리는 이들에게 번창하고 사회에 기여하기 위한 안전, 자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WithRefugees 캠페인을 지지하기 위해 올렸던 트윗입니다.

All across the world, millions of people have fled from their homes in search of safety.  These refugees face incredible levels of hardship and loss.  As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should continue to improve our efforts in providing humanitarian aid to these people who face such uncertain futures.

 Silhouette of a refugee family with children (AP photo)

On September 20, at the 71st session of the UN General Assembly Leaders Summit, President Obama addressed the gathered leaders by urging them to increase their efforts in facing this great test of our time.  Just a day earlier the UN General Assembly reached an agreement on the New York Declaration for Refugees and Migrants.  This declaration outlines a sustainable and more comprehensive commitment to provide assistance to refugees on a global scale.

President Obama addresses the High-level Leaders’ Summit on Refugees. (UN photo)

Following President Obama’s Leadership Summit, th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Yun Byung-se announced in a press conference that the Korean government would be providing USD 230 million in multilateral humanitarian aid for refugees over the next three years.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at the Leaders’ Summit on Refugees

This isn’t the first time th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its efforts to aid refugees.  South Korea has already seen the arrival of the first refugees under the new refugee resettlement program as part of the 2012 Refugee Act, and plans to continue to accept additional refugees in the future.  Over the past few years, they have provided over USD 50 million to assist refugee families from Syria and Iraq. 

President Obama also met with U.S. business leaders in response to his June Call to Action asking the private sector to contribute in assisting with this crisis.  The result of this Call to Action is 51 different companies from across the nation that have committed to providing more than USD 650 million in aid and support.

With over 21 million people displaced from their homes and crossing international borders, I know that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long with the UN Refugee Agency (UNHCR), can continue to partner together in this incredibly important work and take action in the face of this global crisis.  Together with the global community, we can provide these people with the safety,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o thrive and contribute to society.

My recent tweet in support of the #WithRefugees campaign

Powered by Blogger.